2020년 8월부터 장기투자 중인 미국 주식 계좌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요즘 뉴스를 보고 있으면 차갑게 얼어붙은 분위기입니다. 주식과 부동산은 하락세와 신저가를 갱신하고 있고 환율과 금리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높아지는 금리에 많은 사람들이 예적금으로 눈을 돌리고 있고 소비를 줄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적어진다면 기업의 매출도 당연히 줄어들 수밖에 없고 많은 기업이 힘들어지면서 펀더멘털이 약한 나라들부터 흔들리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어쩌다 상황이 이렇게 되었을까요?
미국이 엄청난 규모의 달러를 풀어 경기를 부양했었고 그 돈을 다시 회수하기 위해서 또 엄청난 속도로 긴축과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있을 11월, 12월 FOMC 회의에서도 자이언트 스텝을 할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영국은 금융시장에 혼란이 오고 스위스 은행은 파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킹 달러란 말처럼 미국이 돈을 찍어냈지만 고통은 다른 나라들이 더 크게 받고 있습니다.
확실히 이렇게 시장이 차가워지기 전에 팔았다면 수익을 지켰거나 손실을 입고 물리는 일이 없었겠습니다. 그렇다면 언제가 투자의 적기였을까요?
투자자의 심리
이렇게 어려운 시장일수록 기본 원칙과 많은 성공사례를 돌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 투자 방법 중 "장기 투자"의 성공 확률과 수익률이 높은 편입니다. 실제로 미국 주식 그리고 한국의 대표주인 삼성전자의 경우 10~20년 보유한 사람들의 계좌가 증명해줍니다. 하지만 이런 성공사례가 있음에도 장기투자의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회사를 찾는 방법을 모르는 것과 투자를 시작한 뒤 주변 노이즈를 무시하고 이겨내는 것이었습니다.
작년에 팔았으면, 저번 달에 팔았으면, 어제 팔았으면이라는 후회와 앞으로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코멘트 그리고 이미 팔아서 수익을 낸 주변 지인들. 특히 지금처럼 차가운 시장에서는 더더욱 버텨내기 힘듭니다. 이럴 때 가장 힘들어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반대로 누구나 돈을 벌던 시기에 따라 산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경기 부양 시기의 2020년에 증권 계좌가 역대급으로 많이 생겼고 부동산 거래도 활발하다 못해 뜨거웠습니다. 매스컴에선 연일 상한가를 찍는 종목들과 지금이라도 집을 사지 않으면 늦을 것 같은 분위기였습니다. 지금 세상이 곧 망할 것 같은 것과 정반대의 분위기였습니다.
피터 린치와 마젤란 펀드
장기 투자의 성공 사례로 많이 언급되는 마젤란 펀드를 아시나요? 마젤란 펀드는 전설의 펀드 매니저 피터 린치가 13년간 2,700%라는 경이로운 수익률을 올렸던 피델리티의 간판 펀드입니다. 피터 린치는 일상을 투자에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유명했는데요.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방식이지만 당시에는 엄청 혁명적이었습니다.
피터 린치는 가족과 쇼핑을 갔을 때도 와이프와 딸의 구매 목록을 확인하고 많이 구매한 상품들의 기업을 조사해 매수하기도 하였습니다. 실제로 피터 린치는 "헤인즈"라는 의류회사의 주식을 집중 매수했었는데 그 이유가 와이프가 헤인즈의 스타킹의 올이 잘 풀리지 않고 편하다는 평가를 듣고 조사 후 매수했다고 합니다.
이후 피터 린치가 이끌던 마젤란 펀드 역시 6번의 불경기를 비롯해 1987년 블랙먼데이 등 수많은 불황기를 지났지만 연평균 29%, 13년간 무려 2,700%라는 놀라운 수익률을 기록합니다. 그렇다면 이 펀드를 매수했던 투자자들은 모두 부자가 되었을까요?
놀랍게도 마젤란 펀드를 투자했던 투자자들의 수익률은 좋지 못하다 못해 오히려 절반 이상이 원금 손실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장기투자의 원칙을 잊고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때 잠시 팔았다가 다시 상승기가 찾아올 때쯤 다시 매수하는 식으로 단기적인 행동을 많이 취했다고 합니다. 지금처럼 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재산이 날아가버릴 것 같다면 버티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어쩌면 지금은 아직 겨울에 초입일 수 있습니다. 투자의 적기는 좋은 회사들이 가치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을 때 꾸준히 모아갈 수 있는 시기가 아닐까 합니다. 회사의 적정 가치가 되었을 때를 기다리면서요. 정보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단기적인 상황들과 주변 노이즈에 흔들리지 않도록 투자의 목적과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는다면 지금이 일생일대의 기회일 수 있습니다.
'INVESTMENT_ATTITU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11월 기준금리 인상 예상과 발표 시간 (64) | 2022.10.26 |
---|---|
미국 11월 FOMC 기준금리 인상 예상과 발표 시간 (48) | 2022.10.23 |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PPI & CPI),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상, 의미/전망/발표/예상/대응 (94) | 2022.10.13 |
인생 첫 장기투자를 시작한 이유 (76) | 2022.10.12 |
테슬라 신용등급 상향, 첫 투자적격등급(Upgraded to BBB from BB+ by S&P) (112) | 2022.10.07 |